민주당의 반발 및 사법부 공격:
대법원의 이재명 사건 파기환송 결정에 대해 민주당이 강력히 반발하며 조희대 대법원장을 고발하고 탄핵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사법부 전체 시스템을 무력화하고 이재명 한 사람을 위해 법적 문제가 되는 부분을 제거하거나 시스템 자체를 파괴하려는 시도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태는 삼권분립을 유린하고 독재 시스템으로 나아가려는 위험한 시도로 평가되며,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과거 히틀러나 무솔리니 같은 체제로 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판결 속도 비판과 반박:
민주당은 대법원 판결이 너무 빠르다며 방대한 사건 기록을 다 읽었는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민구 변호사(고등법원 부장판사 출신)는 이는 사법 절차에 대한 무지와 억측이며 비논리적이라고 반박했습니다. 판결 시점은 재판장의 권한이며, 법령 위반이 없다면 문제 삼을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강 변호사는 대법관들이 수십 년 경력의 전문가이며 재판 연구원들의 지원을 받아 기록 검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기록을 다 읽지 않았다'는 주장은 대법관의 전문성과 양심을 모욕하는 명예훼손이자 선동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정치적 불복을 위해 사법부를 흔드는 시도는 위험한 언어폭력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법관 증원 시도 비판:
민주당이 대법관 수를 14명에서 30명으로 늘리는 법안을 발의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업무 경감이지만 실제로는 사법부 장악을 위한 정치적 시도이며 중대한 헌정 파괴 행위로 간주됩니다.
대법관 증원은 사법부 독립 심각한 훼손, 입법부의 월권적 헌법 질서 파괴, 재판 질 저하 및 혼란 초래(판례 일관성 저해), 국민의 사법 신뢰를 정치에 종속시키는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사법부 독립이 절대적 가치로 존중되며, 정권이 대법관 수 조정을 개혁 도구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법안 즉시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결론:
민주당의 일련의 행동은 오로지 이재명을 지키고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사법부 근간과 삼권분립 제도를 무력화하려는 시도로 보이며, 법조계 내부에서도 이러한 상황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합니다.
이재명 때문에 대한민국 전체가 위기에 처했다며 국민들이 상황을 감시하고 선거를 통해 심판해야 한다고 촉구합니다.
top of pag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