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현적 나르시스트는 뭔지 모르겠음 -_-;; 내가 보기에는 어느 정도 알려진 싸이코패스, 소시오패스, 나르시시스트 보다 지금 바로 현대에서는 조현병에 이르는 ADHD가 문제라고 본다. 아주 많은 다수가 이 상태에 놓여있을 거라고 본다.
내가 쇼츠를 종합해서 말하면, 결국은 모든 사람은 단지 바로 그 사람이다. 어렵게 말했고. 쉽게 말하면 나는 나다. 모두가 대하는 사람과 세상이 자기 중심으로 돌아간다.
다만, 성숙한 사람은.. 타인을 더욱 들여다 볼 수 있고, 모두의 중지를 모을 수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모두는 최대한 모아지는 것에 문제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치 갈기갈기 찥어져 흩어진 A부터 Z까지의 단어를 모두 모아 알파벳 체계를 만드는 것과 같다. 자음 하나 모음 하나 아무 쓸모 없이 굴러갈 수도 있긴 하겠지만 결국 그것들이 모두 모아지고 불필요한 것은 제거되거나 자연소멸된 후 지금의 한글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근데 이 말을 5회 해서, 상대를 내 걸로 만들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집착적 관계 중독이 심한 측이 아줌마들. 자녀와의 관계. 그리고, 미성숙한 둘이 고생 모르고 각자 최고의 자리에서 지내다 한몸 생활하다 깨지는 경우 많제 연예인들 등. 한편으로 그렇게 보면 된다. (나는 한국에서는 당연 여자에게서 심한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믿는다 이거 어쩌면 너무 많이 봐온 거다)
내현적 나르시시스트: 조용한 지배자, 숨겨진 자기애
겉으로는 겸손하고 자신감이 없어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강한 특권의식과 자기중심성을 지닌 '내현적 나르시시스트(Covert Narcissis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전형적인 나르시시스트처럼 자신을 과시하고 드러내기보다는, 수동-공격적이거나 피해자 행세를 하는 방식으로 타인을 조종하고 자신의 이득을 취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의 주요 특징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는 외현적 나르시시스트와 핵심적인 자기애적 성향을 공유하지만, 그 표현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들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도한 예민함과 비판에 대한 취약성: 타인의 평가에 매우 민감하며, 사소한 비판도 개인적인 공격으로 받아들여 깊은 상처를 받거나 분노를 느낍니다.
은밀한 우월감과 특권의식: 겉으로는 자신을 낮추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심 자신은 특별하고 우월한 존재라고 믿습니다. 이로 인해 타인에게 특별한 대우를 기대하고, 자신의 요구나 기대가 충족되지 않으면 억울함과 분노를 느낍니다.
피해자 의식과 남 탓: 자신을 세상의 피해자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며, 문제의 원인을 외부나 타인에게 돌립니다. 이를 통해 동정심을 유발하고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갑니다.
공감 능력의 결여: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하거나 착취적인 행동을 하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동-공격적 행동: 자신의 분노나 불만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침묵, 비꼬기, 의무 불이행 등 간접적이고 수동적인 방식으로 표출합니다.
강한 질투심과 경쟁심: 타인의 성공이나 행복에 대해 강한 질투심을 느끼며, 이를 깎아내리려는 시도를 하기도 합니다.
외현적 나르시시스트와의 차이점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 및 대처 방안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는 감정적으로 매우 소모적일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가스라이팅(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드는 행위)이나 죄책감을 심어주는 방식으로 상대를 통제하려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주변에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로 의심되는 인물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대처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거리 두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물리적,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는 것입니다. 관계를 완전히 끊기 어렵다면, 만남의 횟수나 소통의 깊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확한 경계 설정: 무엇이 허용되고 무엇이 허용되지 않는지에 대한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고 이를 일관되게 유지해야 합니다. 그들의 부당한 요구나 감정적인 조종에 단호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회색 돌' 기법 사용: 감정적인 반응을 최소화하여 그들이 원하는 '먹이'를 주지 않는 방법입니다. 단답형으로 대답하고, 개인적인 정보 공유를 피하며, 감정적으로 엮이지 않으려 노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자신의 감정과 판단 신뢰하기: 내현적 나르시시스트는 상대방의 현실 감각을 흔들려 합니다. 자신의 감정과 판단이 옳다는 것을 믿고, 그들의 말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 구하기: 내현적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로 인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상담사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감정을 추스르고 건강한 관계 맺기 방식을 배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내현적 나르시시즘은 공식적인 정신 질환 진단명은 아니지만,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의 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들의 행동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스스로를 보호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