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그랬을 거라 보는데, 공리주의 대부분 취급 못 받는 다만 긍정적 측면이 있는 정도에 불과 그렇게 취급받는...
가령 A의 방법을 하는 경우, 그것은 자신들에게만 공리이지 다른 B에게는 공리가 아니란 거지. 이것을 전체로 놓았을 때 공리주의는 엉터리가 되는 거.
이 정도의 쉬움에 다가갈 수 없다는 것은 시야가 빡나야 가능함.
정의란 무엇일까, 트롤리 딜레마와 공리주의 뜻 (제목만 봐도 비디오라.. 글 내용을 그냥 생략)
트롤리 딜레마는 반드시 두 선택 중 하나를 해라..는 상황이고,
우리는 둘 다 선택하지 않아도 되! 반드시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이 올까? 올 수도 있긴 하겠지만 극단적이지 않나? 왜 그런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으로 두는가..가 이 트롤리 딜레마의 맹점임. 둘 다 안해도 되고 다른 변수들도 있거든.